가정과 직장에서의 역할 갈등을 느끼는 여성 근로자는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韩国研究结果表明,在家庭和职场中感受到作用矛盾的女性劳动者患上忧郁症的危险会增加。
이에 따라 여성 근로자의 직장과 가정생활의 공존을 도울 수 있는 유급 육아휴직이나 유연근무제와 같은 정책적 지원과 직장문화 개선 등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研究组主张,因此,需要帮助女性劳动者的职场和家庭生活共存的带薪育儿休假或弹性工作制等政策支援和改善职场文化等社会努力。
29일 고려대 안암병원에 따르면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교수 연구팀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2018년 자료를 이용해 19세 이상 여성 근로자 4714명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증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29日,据高丽大学安岩医院透露,精神健康医学科韩圭万教授研究组利用韩国女性政策研究院实施的女性家庭小组调查(KloWF)2018年资料,分析了4714名19岁以上女性劳动者的工作-家庭矛盾和忧郁症之间的相互关系,确认了上述事实。
연구팀은 여성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팀장 등 근로자이면서 가정에서 아내·어머니·딸 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면서 겪는 심리적 갈등의 수준을 7개 문항의 설문지로 평가했으며, 전체 표본에서 상위 25%를 높은 수준의 일-가정 갈등이 있는 것으로 정의했다.
研究组将女性劳动者在工作岗位上既是组长等劳动者,同时在家庭中同时履行妻子、母亲、女儿等职责所经历的心理矛盾水平评价为7个问题的问卷,在全体样本中,上位25%的人定义为存在高水平的工作-家庭矛盾。
우울 증상은 역학 연구에서 널리 쓰이는 9개 문항의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PHQ-9) 설문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높은 수준의 일-가정 갈등을 느끼는 여성 근로자가 우울증상을 경험할 위험은 낮은 수준의 일-가정 갈등을 느끼는 근로자보다 2.29배 높았다.
结果显示,感到高水平工作-家庭矛盾的女性劳动者患忧郁症的危险比感到低水平工作-家庭矛盾的劳动者高2.29倍。
또한 높은 수준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증상 간의 상관관계는 ▲20~30대의 젊은 여성 ▲교육 수준이 높은 여성 ▲소득이 높은 여성 ▲1명의 자녀가 있는 여성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 등에서 두드러졌다.
另外,高水平的工作-家庭矛盾和抑郁症状之间的相互关系在▲20~30多岁的年轻女性▲教育水平高的女性▲收入高的女性▲有1名子女的女性▲非正规职工▲从事服务工作的女性等方面尤为突出。
일-가정 갈등을 심하게 겪을 경우 우울 증상이 높아지는 위험을 여성 근로자의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에서 2.32배, 60대에서 1.87배였으며, 20∼30대에서는 3.78배에 달했다.
젊은 여성 근로자일수록 일-가정 갈등으로 인해 우울 증상을 겪을 위험이 더 크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从女性劳动者的年龄段来看,如果工作-家庭矛盾严重,抑郁症状就会提高的危险在50多岁和60多岁分别为2.32倍和1.87倍,20~30多岁为3.78倍。
研究组解释说,这表明越是年轻的女性劳动者,因工作-家庭矛盾而患上忧郁症的危险就越大。